청주시청사 재공모 ‘추진’… 본관동 ‘철거’확정
청주시청사건립 TF팀, 운영 최종결과 발표
본관동 spot 스터디 구성, 청주병원 강제집행 신청 절차 이행, 재정사업의 재공모 추진
[더퍼블릭 = 오홍지 기자] 민선8기 인수위원회에서 출범한 ‘청주시청사건립 TF팀’이 본관동에 대한 철거를 확정했다.
‘청주시청사건립 TF팀’은 27일 청주시청 임시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은 골자로 존치와 철거 여부에 관한 입장을 내놨다.
또, 청주병원 이전 해결방안과 청주시청사건립사업 단일용도의 재정사업의 형태로 재공모 추진함의 타당하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송태진 TF팀장은 본관동 철거에 대해 “본관동 존치 시 청주시선을 통해 의견을 수렴한 결과, 시민 휴게공간, 카페테리아, 역사관 등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반대로 건축 외 환경, 재해, 교통 등 다양한 전문가 의견이 반영되지 않아 분야별 고려해야야 할 문제점이 보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시의 3개 본부 반영과 시의회 별도 건립에 의한 불가피한 설계변경이 필요하고, 추가 비용이 발생 됨을 확인했다”면서 “구조적 불안전성과 원형 훼손, 정밀안전진단 안전등급 D등급 판정을 받은 상태”라고 지적했다.
덧붙여 “1965년 준공 이후 1층 복도 철거와 방풍실과 사무실 증축, 2층 복도 철거와 브릿지 연결, 4층 증측 등 원형 훼손이 이미 되어있는 상태였다”면서 “구조 보강 시 추가 변형과 원형에 대한 추가 훼손이 불가피한 상황, 본관 존치 시 유지관리비가 과다 소요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송 교수는 “문화재청은 청주시 스스로 문화재 등록을 신청할 것과 그러지 않을 경우 직권등록으로 본관동에 대한 문화재 등록을 하겠다고 언급했다”면서 “2018년 10월 16일 존치와 철거를 논의하기 위해 설립한 ‘청주시청사 건립 특별위원회’의 총 6차 회의 중 2차회의에서 문화재청 관계자가 참석해 직권등록을 언급했다”고 말했다.
이어, “위원회에서는 논의를 더 할 필요 없이 11월 6일 ‘본관동 존치 결정’을 내리게 됐고, 이는 사회적 합의가 이뤄졌다고 할 수 없다”고 했다.
송 교수는 “TF팀에서는 학문적 연구를 위해 spot 스터디 팀을 구성해 본관동 관련 전문가들이 향후 방향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는 것으로 시에 제시했다”면서 “현재 시에서 해당 study에 대해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50~100년을 가야 할 청주신청사는 효율성 부분과 예산부분, 활용성 부분에서 현재 본관동 위치를 포함한 신청사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