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충남연구원 “충남 지방문화원 50년, 역할 재정립 필요할 때”

뉴스

by 밝을명인 오기자 2015. 11. 5. 10:04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충남 지방문화원이 지역문화 진흥에 기여하고 지역주민 문화 향유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역할을 재정립해야 한다는 전문가의 주장이 나왔다. 


5일 충남연구원 최영화 책임연구원은 충남리포트 191호에서 “이번 연구는 설립된 지 50여년이 된 충남 지방문화원의 운영실태를 면밀하게 조사·분석한 최초연구”라며 “지방문화원이 지역의 향토문화를 진흥하고 지역주민의 문화활동을 지원하는 매개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충남지역 문화원은 1954년에 공주문화원과 부여문화원이 최초로 설립된 이래 계룡시를 제외한 14개 시·군에 모두 15개(천안시 2개)가 설립·운영되고 있다. 


최 책임연구원이 충남 지방문화원 운영실태를 2차에 걸쳐 조사한 결과, 천안시와 홍성군, 서천군을 제외한 11개 시·군에서 ‘지방문화원 지역·육성 조례’를 만들었으며, 이는 전국 평균 56.1%에 비해 높았다. 또한 충남은 지난 2월 강원도와 대구시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문화원연합회 지원 조례’를 마련한 광역지자체이기도 하다. 


이에 최 책임연구원은 “도내 문화원 육성을 위한 정책적 기반은 타 시도에 비해 잘 갖춰진 편이지만, 이를 시행할 지역 특성화 사업과 중장기 발전계획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충남 지방문화원의 발전 방안으로 △지방문화원의 문화자치 활성화를 위한 정책기반 확립, △문화원 역할 재정립과 맞춤형 사업 발굴, △문화원 간 인프라 격차 해소, △문화네트워크를 통한 지역문화 진흥 제고 등을 제안했다. 


최 책임연구원은 “문화원의 평균 인력수는 3.5명으로 지역 문화행사, 축제, 문화예술교육 등 다수의 사업을 운영하기에 무리가 있다”며 “시군 차원의 인건비 지원과 외부 전문인력 활용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렇게 되면 회원 관리, 예산 확보, 경영 혁신 등 지방문화원의 기능과 역할을 보다 강화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어 “타 문화예술단체나 문화예술인과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새로운 연계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면서 “이러한 지방문화원 발전방안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문화원의 자발적인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충청남도와 시·군 차원에서도 도내 문화원연합회 지원 강화, 지속적인 지방문화원 실태조사, 지방문화원 운영 수익 활용에 대한 조례 개정, 지역민 대상 홍보교육 및 기부운동 장려 등 문화원 발전을 위한 법적, 제도적,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728x90
반응형
LIST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