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지방문화원이 지역문화 진흥에 기여하고 지역주민 문화 향유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역할을 재정립해야 한다는 전문가의 주장이 나왔다.
5일 충남연구원 최영화 책임연구원은 충남리포트 191호에서 “이번 연구는 설립된 지 50여년이 된 충남 지방문화원의 운영실태를 면밀하게 조사·분석한 최초연구”라며 “지방문화원이 지역의 향토문화를 진흥하고 지역주민의 문화활동을 지원하는 매개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충남지역 문화원은 1954년에 공주문화원과 부여문화원이 최초로 설립된 이래 계룡시를 제외한 14개 시·군에 모두 15개(천안시 2개)가 설립·운영되고 있다.
최 책임연구원이 충남 지방문화원 운영실태를 2차에 걸쳐 조사한 결과, 천안시와 홍성군, 서천군을 제외한 11개 시·군에서 ‘지방문화원 지역·육성 조례’를 만들었으며, 이는 전국 평균 56.1%에 비해 높았다. 또한 충남은 지난 2월 강원도와 대구시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문화원연합회 지원 조례’를 마련한 광역지자체이기도 하다.
이에 최 책임연구원은 “도내 문화원 육성을 위한 정책적 기반은 타 시도에 비해 잘 갖춰진 편이지만, 이를 시행할 지역 특성화 사업과 중장기 발전계획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충남 지방문화원의 발전 방안으로 △지방문화원의 문화자치 활성화를 위한 정책기반 확립, △문화원 역할 재정립과 맞춤형 사업 발굴, △문화원 간 인프라 격차 해소, △문화네트워크를 통한 지역문화 진흥 제고 등을 제안했다.
최 책임연구원은 “문화원의 평균 인력수는 3.5명으로 지역 문화행사, 축제, 문화예술교육 등 다수의 사업을 운영하기에 무리가 있다”며 “시군 차원의 인건비 지원과 외부 전문인력 활용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렇게 되면 회원 관리, 예산 확보, 경영 혁신 등 지방문화원의 기능과 역할을 보다 강화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어 “타 문화예술단체나 문화예술인과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새로운 연계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면서 “이러한 지방문화원 발전방안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문화원의 자발적인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충청남도와 시·군 차원에서도 도내 문화원연합회 지원 강화, 지속적인 지방문화원 실태조사, 지방문화원 운영 수익 활용에 대한 조례 개정, 지역민 대상 홍보교육 및 기부운동 장려 등 문화원 발전을 위한 법적, 제도적,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윤정 엄마 논란, 장윤정 시어머니 "나한테 얘기해..난 네가 울면 가슴이 시려" (0) | 2015.11.05 |
---|---|
[KOCCA] 2015 콘텐츠수출실무워크숍 (0) | 2015.11.05 |
[안내] 제2회 2015 3D 프린팅 컨퍼런스 개최 (0) | 2015.11.05 |
[벽돌한장]고구마·로켓으로 보는 미래는?…'따뜻한 과학마을 이야기'(사전신청접수,17일 대덕넷) (0) | 2015.11.05 |
한국콘텐츠진흥원, 취업준비생 위한 티칭클래스 2차 참가자 모집 (0) | 2015.11.05 |
충북도, ‘융합바이오 세라믹 소재산업 창조포럼’ (0) | 2015.11.05 |
청주시 상당구청사 공모 선정, 최종 심사위 개최 (0) | 2015.11.05 |
강동원, `뉴스룸` 깜짝 일기예보.. 양손으로 머리 감싸쥐고 `으아` (1) | 2015.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