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 창당을 추진 중인 안철수 무소속 의원이 새 정당의 기조에 대해 “낡은 진보와 수구보수 대신 ‘합리적 개혁노선’을 정치의 중심으로 세우겠다”고 27일 밝혔다. ‘새정치’의 비전으로는 ‘공정성장·교육개혁·격차해소’를 제시했다.
안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금이 바로 새로운 정치·새로운 정당·새로운 비전·새로운 인물·새로운 정책이 필요한 시간”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30~40대 우리 사회의 허리가 정치의 소비자만이 아니라 생산자가 되어야 하고, 주체가 되고, 중심이 되어야 한다. 그런 분들이 국회에 들어가서 제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했다.
안 의원은 현재 한국에 대해 “경제가 문제이고, 정치가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진단했다. 또 박근혜 대통령의 창조경제를 강하게 비판하고 산업화 세대와 민주화 세대의 방식은 대안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문제를 해결할 대책으로 안 의원은 “‘공정성장’을 경제정책의 제일 기조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온갖 독과점 질서를 공정거래 질서로 바꿔야 한다. 시장을 시장답게 만들어야 한다. 중소기업도 실력만으로 대기업이 될 수 있어야 한다. 개인도 기업도 개천에서 용이 날 수 있어야 한다”며 “공정한 경쟁과 공정한 분배 하에 우리는 다시 성장할 수 있고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일과 일자리를 공동체의 필요와 연계하는 사회적 경제의 몫을 늘려야 한다”고 했다.
교육 문제에 대해서는 “부모가 노후대비도 포기하고 학원에, 유학에 사교육비를 들여도 아이들에겐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라며 “대한민국의 미래는 수직적·관료적·기계적 교육 시스템을 수평적·창조적·디지털 교육시스템으로 얼마나 바꿀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고 했다.
안 의원은 “격차 해소를 통해 국민 다수의 삶이 나아져야 선진국으로 갈 수 있다”며 “복지체계도 더 촘촘해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의 피와 땀인 세금은 일자리, 건강, 교육, 문화, 체육 등 여러 분야에 골고루 효율적으로 써야 하고, 인프라를 구축에 재정이 많이 든다면 일정한 증세는 피할 수 없다”고 증세 필요성을 언급했다.
통일과 외교에 대해서 안 의원은 “원칙만 말씀 드리겠다”며 조심스럽게 말을 꺼냈다. 그는 “튼튼한 안보의 바탕 위에 사건이 아닌 과정으로서의 통일을 추구해야 한다”며 “한미동맹의 기반을 튼튼히 하면서, 남북관계를 주도적으로 풀어가야 한다. 북한 핵(核) 문제는 물론 어떤 종류의 무력도발도 결코 용납될 수 없다. 통일의 전제는 평화 관리이며 교류협력의 전면화”라고 했다.
출처 = 조선일보 디지털이슈팀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2/28/2015122800012.html
남보라 남동생 사망,'인간극장'서 화목했었는데..스스로 목숨 끊어... (0) | 2015.12.28 |
---|---|
한국 작년 세계 최대 무기 수입국, 2위 이라크→3위 브라질…"美에서 가장 많이 구매" (0) | 2015.12.28 |
에프터스쿨 '나나',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얼굴 1위 차지해 화제 (0) | 2015.12.28 |
표창원 새정치민주연합 입당,썰전 이철희 소장·장하성 교수는? "영입 나서" (0) | 2015.12.28 |
총선 예비후보 등록 D-1, 선거구 미확정 사태 예고... (0) | 2015.12.14 |
문재인 혁신전대 거부, "안철수 의원 혁신 제안은 모두 수용할 것" (0) | 2015.12.04 |
LA동부 총기난사 테러 가능성 "전화-SNS로 테러집단과 접촉" (0) | 2015.12.04 |
법무부 "사법시험 폐지 2021년까지 4년간 유예" (0) | 2015.12.03 |